언리얼 개발을 위해 visualStudio 환경 세팅하는 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visual studio Community 2022 정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및 설치해 줍니다.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vs/community/
Visual Studio 2022 커뮤니티 버전 – 최신 무료 버전 다운로드
Windows, Android 및 iOS용 최신 개발자 앱을 만들기 위한 모든 기능을 갖춘 확장 가능한 무료 IDE를 사용해 보세요. 지금 무료로 커뮤니티를 다운로드하세요.
visualstudio.microsoft.com
2. 처음설치 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되어 있지만 워크로드가 부족할 경우
추가 설치 도구 클릭 후 언리얼 작업을 위한 최소 옵션을 선택해주세요.
- .NET 데스크톱개발
- C++를 사용한 데스크톱개발
- C++를 사용한 모바일 개발
- Visual Studio 확장 개발
- c++ 를 사용한 Linux 및 임베디드 개발
3. 2024년 12월 4일 기준 언리얼 5.4버전에서 비주얼스튜디오와 충돌이슈가 있다고 합니다.
5.5에선 고쳐졌다고 하니 버전을 바꾸거나 참고하셔야 할 듯 합니다.
4. JetBrains의 '라이더'도 개발하기에 괜찮다고합니다
https://www.jetbrains.com/ko-kr/rider/
Rider: JetBrains의 크로스 플랫폼 .NET IDE
www.jetbrains.com
5. 프로젝트 생성하기
1)파일 - 새로만들기 - 프로젝트
2) 언어설정은 c++로 선택해주세요
3) '빈프로젝트 선택' 후 다음버튼을 눌러주세요
- 만약 원하는 템플릿이 뜨지 않는다면
추가도구 및 기능설치를 눌러서 visualStudio Installer를 켠 후,
- .NET 데스크톱개발
- C++를 사용한 데스크톱개발
- C++를 사용한 모바일 개발
- Visual Studio 확장 개발
- c++ 를 사용한 Linux 및 임베디드 개발
위 항목대로 추가 설치를 해줍니다
4) 프로젝트 이름을 넣어줍니다.
이름에 한글 넣지 말고, 경로에도 한글 넣지말고 바탕화면에도 저장하지 않는 습관을 들입시다.
6. 확장자
[.sln]
- 솔루션 파일로 한개만 존재합니다. 지우면 안됩니다.
- 프로젝트 열 때 .sln 파일로 더블클릭하여 열면 됩니다 (파일 - 열기 를통해 열어도 됩니다)
-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관리해주는 파일입니다.
[.vcxproj] : 프로젝트명의 폴더안에 존재
- 프로젝트 설정이 저장되고, 프로젝트를 관리 해주는 파일입니다.
- 솔루션 파일은 한개만 존재하지만 프로젝트 파일은 여러개 존재할 수 있습니다
7. 편리한 작업을 위한 옵션 설정
- 도구 - 옵션 - 텍스트편집기 - 마우스 클릭을 사용하여
'정의로 이동'을 해제하면 단어단위로 클릭했을 때 단어 단위로 잡아주어 편리합니다.
- 도구 - 옵션 - 텍스트편집기 - 모든언어 - 스크롤막대 - 세로 스크롤막대 지도모드를 사용하면
이동하기 편리해집니다.
8. 옵션 세팅하기
(1) ctrl+클릭을 통해 같은 블럭 모두 선택하기 위한 옵션 선택
도구 - 옵션 - 텍스트편집기 - 마우스 클릭을 이용하여 [정의로 이동] 수행 해제하기
=> 더블 클릭을 통해서 같은 블럭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2) 코드의 스크롤바를 맵형태로 변경하기
도구 - 옵션 - 텍스트편집기 - 모든언어 - 스크롤막대 - 세로 스크롤 막대에 지도 모드사용 선택
마우스 휠을 사용하지 않고 클릭으로 한번에 클릭한 위치로 이동이 가능해집니다.
(3) tab을 이용한 자동완성
- 문법 작성 중 인텔리전스가 자동완성 추천 문장을 추천해줄때 해당 문장을 선택하고 (선택되어 있다면) tab을 눌러서 편하게 자동완성 시킬 수 있습니다.
- switch문에서 enum별로 case 자동완성기능 (enum class도 가능)
- enum타입 변수 또는 해당 enum 타입을 switch 조건문에 적어주고
- shift+enter을 누른다면
- enum타입별 case문이 자동으로 완성되게 됩니다.
'개발개발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Studio2022 단축키 - 알아두면 작업 능률이 올라가는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 2024.12.25 |
---|---|
VisualStudio에서 클래스다이어그램 확인 (0) | 2024.12.21 |
댓글